함께그린(Green) 실천프로그램
![]() |
![]() |
나(우리)의 탄소발자국 | *나(우리)의 co2 배출량 산정, 감축목표 설정 *우리나라 1인당 연평균 10.24톤의 co2 배출 |
---|---|
기후변화 녹색교육 | *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 인식 *녹색교육 개최, 녹색교육 참여 |
지역농산물 이용하기 | *유통단계 간소화, 에너지 소비량과 가격 절감 *수입농산물 구매시 1인 연평균 138kg co2추가배출 |
---|---|
친환경상품 구매하기 | *환경마크 및 co2 발생량 확인 *가구당 연평균 350kg co2 저감 |
재래시장 즐겨찾기 | *마을과 지역의 상권, 중소상공인 배려 *지역순환경제 활성화에 기여 |
쓸 만큼만 적정구매 | *검소한 소비, 쓰레기 배출 감소 *냉장고보관량 10% 증가 시 전기소비 3.6% 증가 |
육류소비 줄이기 | *쇠고기 1kg 생산 시 13kg co2 발생 *전 세계 곡물 70%가 가축사료로 소비 |
아껴쓰고, 나눠쓰기 | *나눔장터 등 나눔문화 확산 *교재 20% 물려쓰면 2,200톤 co2 저감 |
쿨 맵시·온 맵시 패션 | *여름철 노타이, 겨울철 내복입기 *넥타이 하나만으로 2°c의 체감 효과 |
생명의 물 아껴쓰기 | *절수형 기기, 샤워시간 줄이기, 모아서 세탁 *수돗물 10%만 줄이면, 전국 연간 4,015억원 절감 |
---|---|
일회용품 사용금지 (내컵, 장바구니 사용) |
*1회용비닐봉지 분해 100년 이상 소요 *종이컵 1개 11g co2 발생, 우리나라 연간 120억개 *종이컵을 안쓰면 연간 13만톤 co2 저감 |
종이사용 줄이기 | *우리나라 1인당 연간 187kg 소비, a4지 1장 2.88g, 1박스 4.4kg의 co2 발생 |
음식물쓰레기 없애기 | *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오염 심각 *우리나라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 연간 18조원 |
완전 분리배출 (아끼고 가르고 모으기) |
*아끼고 가르고 모으기 *알루미늄캔, 페트병, 플라스틱컵 분해 500년 이상소요 *알루미늄캔 1개 재활용 시 50g co2 절감 |
플러그 뽑기 | *가급적 메인스위치 설치 등 *가전제품 이용전력의 약 10%가 대기전력 |
---|---|
실내 적정온도 유지 | *냉난방줄이기, 여름 26~28°c, 겨울 18~20°c *실내온도 1°c 조정 시 연간 110kg co2 저감 |
에너지고효율제품 사용 | *절전형 가전제품, 옥외용형광등 led등 교체시 개당 연간 15kg co2 절감 |
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| *에너지 절약 및 건강 증진 *닫힘버튼 제거, 격층운행 등 최대 20% 전력절약 |
신재생에너지 도입 | *우리나라 전체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 비율 2%불과 *태양광가로등 등 신재생에너지 도입으로 co2 저감 |
걷거나 자전거 타기 | *2km를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면 1일 670g, 1년 244kg co2 저감 |
---|---|
대중교통(버스) 이용 | *우리나라 운전자 1인 일평균 이동거리 25km *승용차 4.87kg, 버스 0.39kg co2 발생 |
카풀 또는 카쉐어링 | *4인 카풀 시 1대당 연간 2톤 co2 저감, 연료 479l, 연료비 약 81만원 절약 |
에코(eco) 드라이빙 | *공회전과 과적 금지, 경제속도 유지, 차계부 작성 등 *공회전 하루 10분 줄이면 연간 2.3톤 co2 저감, 속도 70~100km/h 운행시 연료소모 20~30% 증가 |
자동차 줄이기(5부제 | *승용차 5부제 시 1대당 연간 795kg co2 저감, 연료 184l, 연료비 약 31만원 절약 |
나무 심고 가꾸기 | *나무 1그루 연평균 34.6kg co2 흡수, 숲 1ha 당 연평균 7톤 co2 흡수, 산소 5톤 공급 |
---|---|
담장 허물기 | *생울타리 조성 등 오픈스페이스 조성 *이웃과의 원활한 소통, 마을공동체 회복 |
텃밭 가꾸기 | *베란다, 옥상, 버려진 땅을 이용, 녹색공간 조성 *생태적 감수성 고양, 신선하고 안전한 식재료 자급 |
꽃밭 가꾸기 | *마당, 길가, 버려진 땅을 이용, 녹색공간 조성 *도심속 작은 공원을 만들어 경관 증진, co2 저감 |
공공장소 관리분담 | *놀이터, 소하천, 근린공원 등 공공시설 1:1 결연 *이웃과 함께하는 쾌적한 녹색공간으로 활용 |
자원활동, 재능기부 | *공익적 활동을 위한 자원활동과 재능기부 *상부상조 문화 확산, 지역사회 공동체 강화 |
---|---|
공익단체 후원 | *환경, 복지, 봉사, 시민단체 등 비영리공익단체 후원 공익단체 후원 *소액다수 기부문화 확산 및 건강한 시민운동 정착 |
우리고장 생태문화 바로알기 | *지역 생태와 문화에 대한 인식과 긍지 확대 우리고장 생태문화 바로알기 *지역사회 일원으로 지역의 안내자이자 홍보단 되기 |
동네활동 지역행사 참여하기 | *주민모임, 마을축제, 환경행사 참여 *생활권 커뮤니티 강화에 기여 |
인사하고 칭찬하기 | *좋은 이웃, 행복한 관계 확대 *녹색실천, 모범사례 적극 독려하고 확산하기 |